패션스타일(Fashion style)은 하나의 복식 양식이라 할 수 있다. 이는 개인의 취향과 문화적 배경, 사회적 지위와 성격, 신념등을 반영하여 옷으로 표현할 수 있는 미적 가치를 드러내는 조형적인 표현방식이라고 이야기할 수 있다. 패션스타일을 지칭하는 용어 끝에 '룩'이나 '풍'을 붙여(ex. 매니시룩, 복고풍) 함축적으로 지칭하기도 한다.
- 패션스타일: 개인의 취향과 문화적 배경, 사회적 지위와 성격, 신념등을 반영한 조형적 표현방식
- 룩: 패션스타일을 함축적으로 지칭하는 용어
패션스타일과 룩의 종류
패션스타일은 계절, 기능성, 국가, 이미지 등의 기준에 맞춰 다양하게 분리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각각의 스타일이 가지는 이미지를 중심으로 분류할 수 있다.
1. 현대적인 이미지
- 컨템퍼러리(Contemporary) 룩: 현대적이면서 클래식한 요소를 실용적인 감각으로 표현한 스타일이다. 최신유행을 반영하지만 과도한 패션 트레드를 따르지 않으며 간결하고 세련된 느낌을 준다.
- 모던(Modern) 룩: 현대적인 요소를 통해 단순함과 간결함, 도시적이며 합리적인 감각을 표현한 스타일이다. 미래 지향적인 경향이 있으며 직선적 형태감을 많이 사용한다.
- 시크(Chic) 룩: 고급스러운 도시감각을 심플하고 세련된 이미지로 표현한 스타일이다.
- 소피스티케이티드(Shphisticated) 룩: 우아함과 세련됨을 갖춘 고급스러운 스타일이며 현대적인 느낌을 미니멀하게 표현한다.
2. 여성적인 이미지
- 페미닌(Feminine) 룩: 여성성을 강조하는 스타일로 여성미을 상징하는 우아함, 로맨틱함을 강조하는 스타일이다. 여성성을 표현함에 있어 로맨틱룩보다는 과하지 않게, 엘레강스룩보다는 강조하는 형태를 띠고 있다.
- 로맨틱(Romantic) 룩: 여성스러움을 낭만적이고 몽상적으로 표현하는 스타일이다. 실용성 보다는 화려함을 추구하여 장식적이고 섬세한 디테일을 적극 활용한다.
- 엘레강스(Elegance) 룩: 여성미를 우아하고 중후하게 표현한 스타일이다. 곡선실루엣을 절제된 형태로 반영하여 품위 있고 고상한 이미지를 보여준다. 모던한 요소에 클래식한 요소를 결합시키는 특징이 있다.
- 이노센트(Innocent) 룩: 여성의 이미지를 청순하게 표현하여 얌전하고 깨끗한 이미지를 준다.
- 미네트(Minette) 룩: 어린 소녀 혹은 귀여운 어린이를 연상시키는 스타일이다. 발랄한 느낌의 밝고 경쾌한 컬러의 사용, 귀여운 패턴의 활용이 특징이다.
3. 남성적인 이미지
- 매니시(Mannish) 룩: 여성이 남성적 미의식을 차용하여 중성적인 느낌을 준다. 미니멀하면서 클래식한 특징이 있다.
- 보이시(Boyish) 룩: 소년적인 매력과 발랄함을 표현하는 스타일이다. 캐주얼한 소년 감성을 스포티하고 미니멀하게 표현하는 특징이 있다.
- 유니섹스(Unisex) 룩: 성별을 구분하지 않는 중석적인 스타일로 남녀 공용 패션을 지칭하기도 한다. 성별을 강조하지 않는 무난한 칼라나 디테일이 활용된다.
- 보이프렌드(Boyfriend) 룩: 여성이 남성의 옷을 입은듯한 느낌을 주는 스타일이다. 여성이 남성적인 요소를 표현한다는 점에 있어 중성적인 유니섹스룩과 구별된다.
4. 에스닉 이미지
- 에스닉(Ethnic) 룩: 유럽을 제외한 세계 여러 나라의 민속 의상과 민족 고유의 염색, 직물, 자수, 액세서리 등에서 영감을 받은 토속적인 느낌의 스타일이다. 1960년대 히피 문화와 함께 다양하게 발전하였다.
- 이그조틱(Exotic) 룩: 다양한 문화와 지역에서 영감을 받아 이국적인 느낌을 신비스럽게 표현하는 스타일이다. 에스닉룩이 전통적인 복식에 집중하였다면 이그조틱룩은 보다 현대적인 성향이 있다.
- 오리엔탈(Orientalism) 룩: 동양 민족의 복식 문화에 강하게 영향을 받은 스타일이다.
5. 전위적인 이미지
- 아방가르드(Avant Garde) 룩: 고정관념과 전통을 배제하고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실험적 성격의 전위 예술의 일종이다. 초현실주의를 반영하고 있으며 독창적이고 혁신적이나 대중적으로 수용되기 어려운 특징이 있다.
- 포스트모던(Post modern) 룩: 전통적인 스타일에 대중문화, 철학, 예술 등의 새로운 요소를 추가하여 새로운 스타일을 만들어내는 실험적인 스타일이다. 이런 시도적인 성향을 바탕으로 새로운 패션 트렌드를 만드는 역할을 한다.
6. 동적인 이미지
- 스포티브(Spotive) 룩: 스포츠 유니폼 디자인을 응용하여 새롭게 풀어낸 스파일
- 액티브(Active) 룩: 운동이나 활동성이 높은 일상생활을 할 때 실용성과 기능성을 강조한 스타일로서 각종 스포츠웨어도 이에 해당된다.
- 캐주얼 Casual) 룩: 형식적이지 않은 평상복 스타일로서 일상적이고 편안한 특징이 있다.
실루엣은 무엇인가? '실루엣의 정의와 종류'
실루엣(silhouette)은 '인체가 착용한 옷의 표면이 외부 공간과 접촉하는 면'으로 정의된다. 이는 디자이너 엘린우드(Janice G. Ellinwood)의 말에 따른 것인데 그는 '새로운 스타일의 유행은 곧 새로운
fashion-drawing.tistory.com
반응형
'패션디자인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면섬유 형태와 특성(cotton) (0) | 2023.05.11 |
---|---|
섬유 특성에 대한 기초적인 개념 (쉽게 이해하기) (1) | 2023.05.10 |
색채의 개념과 기능, 효과까지 (1) | 2023.05.09 |
실루엣은 무엇인가? '실루엣의 정의와 종류' (1) | 2023.05.08 |
패션 디자인의 설계 요소란? (구조적, 미적, 기능적 관점) (0) | 2023.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