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연섬유 중 식물성 섬유인 '마(Linen)' 섬유로는 우리가 흔히 접하는 린넨, 한복, 삼베와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비슷한 촉감을 가지고 있지만 각각은 아마, 저마, 대마 등의 식물 줄기에서 추출된 섬유로 구성되어 미세도나 성질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아마(Linen)는 = '린넨'
저마(Ramie)는 = '모시'
대마(Hemp)는 = '삼베'
아마 (Linen)란 무엇인가?
- 아마 섬유는 아마 식물(아마 속 Linum)의 줄기에서 추출합니다.
- 우리가 일반적으로 '린넨'이라고 부르는 것은 '아마'에 속합니다.
- 의류뿐만 아니라 커튼, 베개와 같은 침구료, 시탁보 등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 인류 역사상 가장 오랜 기간 재배된 섬유입니다.
- 면과 같이 단섬유에 속합니다.
1. 형태
아마의 측면모습은 불규칙하고 마디와 길이 방향으로 줄이 나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단면으로 잘랐을 때는 5~6 각형 형태를 티고 있으며, 가운데에 작은 중공을 가지고 있습니다.
(*중공(Lune): 중심부의 빈 구멍)
2. 성질
강도와 신도
강도가 매우 크며 이는 물을 머금으면 그 강도가 더 강해집니다.
신도는 신도는 매우 작습니다.
탄성과 레질리언스
둘 다 좋지 못해 뻣뻣하고 구김이 잘 생깁니다.(=내추성이 안 좋음)
한번 생긴 구김은 잘 펴지지 않습니다.
탄성회복률이 매우 안 좋습니다.
흡습성
중공이 있어 흡습성이 좋고, 건조속도도 매우 빠릅니다.
비중
1.5로 무거운 편이나 다른 셀롤로오스 섬유와 비슷한 수준입니다.
(* 비중이 1보다 작으면 물에 뜨고, 1보다 크면 물에 가라앉습니다. 대체로 화학섬유에 비해 천염섬유의 비중이 큽니다.)
내약품성
산에 약하고 알칼리에 강합니다.
알카리에 대한 내성은 면보다 떨어지므로 강한 알카리 세제나 표백제에 손상받을 수 있습니다.
내일광성
면에 비해 좀 더 잘 침식됩니다.
내충, 내균성
세균과 곰팡이에 강합니다.
내열성과 내연성
내열성이 좋아 230~260도의 고온 다림질도 가능합니다.
내연성이 좋다고 볼 수는 없는나 천연 소재 중에서는 비교적 높은 편입니다. (불이 더디게 번짐)
저마(Ramie)란 무엇인가?
- 라미식물(라미속 Boehmeria)의 줄기에서 추출한 섬유로서 한국에서는 '모시'로 알려져 있습니다.
- 여름용 한복으로 많이 사용합니다.
- 전반적인 특성은 아마와 동일하지만 형태와 광택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1. 형태
- 저마의 측면 모습은 아마와 같이 섬유폭이 불규칙하고 곳곳에 마디가 있습니다.
- 단면은 타원형을 띠며, 이로 인해 아마에 비해 광택감이 더 좋습니다.
- 아마와 같이 단면 중앙에 중공을 가지고 있습니다.
(*섬유 단면이 타원형이거나 삼각형을 띨 경우, 규칙적인 표면으로 인해 빛의 반사와 굴절이 효율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비정형의 단면을 가진 섬유는 빛의 여러 방향으로 흩어지므로 광택이 좋지 못합니다.)
2. 성질
- 탄성과 레질리언스, 강신도, 내열과 내연성은 아마와 동일한 성격을 띠고 있습니다.
- 강도가 매우 크고 신도는 매우 작습니다. 물을 머금으면 강도가 좀 더 강해집니다.
- 내약품성 : 산성보다 알칼리에 강하고 알카리에 대한 내성은 아마보다 더 좋습니다.
대마(Hemp)란 무엇인가?
- 대마식물(대마 속 Cannabis) 줄기에서 추출한 섬유이며 우리나라에서는 '삼베'로 불립니다.
- 상복과 여름용 한복, 식탁보, 천막으로 많이 사용합니다.
1. 형태
- 대마의 옆면의 형태는 측면을 가로지르는 마디와 함께 길이로 많은 줄이 있습니다.
- 대마의 단면은 다각형이며 아마나 저마에 비해 비교적 큰 중공이 있습니다.
2. 성질
- 전반적인 특성은 아마와 비슷하나 강도는 더 크고 광택이 떨어집니다.
- 수분의 흡수와 건조가 빠릅니다.
- 구성 성분상의 이유로 아마나 저마와 달리 알칼리와 표백제 손상될 수 있습니다.
'패션디자인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헤어섬유 특성(Hair Fiber) (0) | 2023.05.15 |
---|---|
양모 섬유 특성과 형태 (0) | 2023.05.12 |
면섬유 형태와 특성(cotton) (0) | 2023.05.11 |
섬유 특성에 대한 기초적인 개념 (쉽게 이해하기) (1) | 2023.05.10 |
패션스타일(style)과 룩(Look), 총정리 (1) | 2023.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