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션디자인 이론

패션 디자인이란? "패션디자인의 정의와 목표"

벅크리 2023. 5. 8. 13:51

패션디자인은 디자인  최종 산물의 존재 방식이 옷이나 액세서리, 홈패션 제품 등의 패션제품의 실체화에 목적에 둔 것을 말한다.  거시적인 의미로서 패션 디자인은 패션제품의 디자인 과정을 지칭 하지만, 미시적으로는 패션 제품에서 가장 중요한 품목이라고 할 수 있는 의복디자인을 지칭하기도 한다.

패션디자인의 과정 모델은 여러 학자에 따라 용어와 순서가 다소 상이하지만 주로 조사와 문제정의, 아이디어 발상, 디자인 개발 및 평가에 이르는 과정을 볼 수 있다.


패션디자인의 목표와 소비자 요구와의 관계는?

패션 디자인의 궁극 적인 목표는 소비자의  요구가 잘 반영된 디자인을 만들어 소비할 때 기대하는 다양한 보상을 제공하는데 있다고 볼 수 있다.

램과 캘랠(lamb & kallal, 1992)는 'FEA모델'을 제시하며  패션디자인 과정을 6단계로 구분하고 있는데, 이 과정에서 목표소비자에게 반영해야 할 요소로서서 "기능적 요구, 표현적 요구, 예술적 요구"를 이야기하고 있다. 이 모델은 목표 소비자가 갖는 다차원적인 요구로서 옷의 기능성과 표현성, 심미성의 측면에서 각 요소가 필요로 하는 점들을 만족시켜야 한다는 큰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기능적 요구로서의 패션 디자인의 목표

  1. 신체보호는 옷의 중요한 기능적 특징으로서 외부 환경으로부터 사람을 보호하는 가장 일차원적인 기능이라고 볼수 있다.
  2. 피팅감(=맞음새)은 옷의 3차원적인 형태를 인체에 적합하게 보이고, 동작을 편안하게 할 수 있게 해주는 일종의 설계라고 할 수 있다.
  3. 관리의 용이성은 의류 소재의 특성에 따른 세탁, 다림질 등의 용이성으로서 소재 특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4. 품질과 내구성은 옷의 봉제상태와 더불어 제품의 신충성, 흡습성, 방수성 등과 같이 다양한 속성에 대한 총체적인 평가이다.
  5. 경제성은 최소의 경비와 노력으로 최대의 효용성을 얻는것에 대한 목표라고 할 수 있다.

 

 

표현적 요구(사회심리적인 관점)의 패션디자인의 목표

  1. 시대적인 미; 트렌드를 반영하여 각 시대가 요구하는 이상적인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매체가 된다. 그것은 단순히 심미성을 넘어  옷을 통해 보완하고 싶은 체형에 대한 요구도 포함된다.
  2. 교복과 같은 유니폼이나 군인의 군복과 같이 착용 상황과 착용자의 사회적 역할을 직접적으로 규정할 수 있어야 한다.
  3. 합목적성 제품으로서  맞추어 미적인 측면과 더불어 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에 맞춰 소비자의 개성과 정체성을 표현해야 한다.

 

예술적 관점에서의 패션 디자인 목표

  1. 심미성은 표현하는 에술적인 작품이 될 수 있다. 이는 디자인 요소들의 적절한 사용을 통해 조화롭게 배치하여 아름다움을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2. 창의성을 통해 새로운 미적 경험을 제공해야 한다. 사회 구성원들이 아름답다고 느끼는 미의식 안에서 새로움을 느낄 수 있는 디자인을 만들어야 한다.

 


패션 디자이너에게 필요한 사고 방식은?

패션 디자이너는 목표 소비자 집단이 추구하는 것을 명확히 이해하고 복합적인 사고방식을 통해 융통성 있는 사고방식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그에 따른 사고방식 5가지를 제시한다면 다음과 같다.

  1. 불확실한 것들에 대해 유연하게 받아들이며 개발적인 태도로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2. 사용자에 대한 공감을 통해 시대의 흐름과 문화의 환경을 고려하여 설득력있는 제품을 창조해야 한다.
  3. 오감(시각, 청각, 촉각, 후각, 미각)의 다양한 감각자극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4. 유희성을 통해 기발하고 장난스러운 발상을 이끌어 내고 창의력있는 아이디어를 구상해야 한다.
  5. 통합적인 사고를 통해 기능성, 심미성, 생산성, 사용성에 이르기까지 여러가치를 동시에 고려할 수 있어야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