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사

현대화 이전과 이후의 노인 지위와 역할 변화, 해커스 학점은행제 과제

벅크리 2023. 9. 27. 05:20

해커스 원격 평생교육원의 사회복지사 과목 중 노인복지론의 과제 제출물 입니다. 해커스 학점은행제 과제가 처음이시라면 어려울 수 있을텐데, 학습에 참고 되시길 바랍니다. 주제는 '우리나라의 현대화 이전과 이후의 노인의 지위와 역할 변화에 대해 논하고, 그에 따른 노인문제와 개입에 대한 필요성을 설명하시오.' 였습니다.

 

 

Ⅰ. 서론

 우리나라는 인구 고령화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는데, 이는 인구 구조가 젊은 층에서 노년 층으로 치우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인구 구조의 변화는 노인들이 사회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역할이 커지는 반면, 그들의 사회적 지위와 권리가 축소되고 있는 상황을 초래하고 있다. 즉, 노인들은 사회의 주요 인구집단이 되었지만, 그에 상응하는 사회적 존중과 복지를 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 우리나라의 현대 이전과 이후의 노인 지위의 역할변화에 대해 살펴보고, 그에 따른 노인문제의 개입성에 대하여 설명해 보고자 한다.

 

Ⅱ. 본론

 과거 우리나라는 농경생활을 중심으로, 노인들은 가족과 지역사회에서 존경과 책임을 받으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노인들은 그들의 지혜와 경험을 바탕으로 가족의 문제를 해결하고 자녀들의 교육과 양육에도 크게 기여하였으며 가족과 함께 살면서 그들의 복지와 안전을 보장받았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현대화를 거치면서 산업화와 도시화가 급속히 진행되었고, 이는 전통적인 가족구조와 가치관을 해체시켰다. 산업화와 도시화는 젊은 세대가 농촌에서 도시로 이동하고 핵가족으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노인들이 가족과 분리되고 고립되는 현상을 야기하였고, 변화된 사회속에서 과거 노인들이 수행하였던 역할은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여 쓸모없는 취급을 받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노인은 늘어난 수명에 비해 짧은 사회참여의 기회로 사회적 은퇴자라는 인식을 받으며 경제적 어려움을 겪거나, 사회활동의 기회를 박탈당하고 고립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그로 인해 신체적으로 쇠약해지고 질병에 걸리기 쉬워지며, 정신적으로는 우울하고 외로워지며, 자살 생각을 하기도 한다. 이는 한국이 노인 자살률 1위라는 통계(참고1)를 통해 한국의 노인들이 인간다운 존엄한 삶을 보장받기 힘든 상황으로 내몰리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노인-빈곤층-비율
70살-이상자-자살률
[참고1]

 

미시적인 관점에서의 노인문제는 노인에게 국한되어 있다고 볼 수도 있겠지만, 거시적인 차원에서의 노인문제는 급격히 고령화 되고 있는 현대 사회와 맞물러 노동인구의 부족으로 인한 생산성과 경제활동의 저하가 있을 것이며, 이것은 국가 전반의 경제력 저하를 초래하게 만들고 있다. 때문에 노인문제 해결에 있어서는 개인과 사회적인 노력에 앞서 국가적인 정책과 개입을 바탕으로 노인의 사회 참가 구조를 정비해야 하며, 이는 노인들의 복지와 존엄성을 보장하는 것은 물론, 그들이 사회에 참여하고 기여할 수 있는 기회와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한다. 이를 통해 노인들이 새로운 지위와 역할을 수행하며 사회에 활기를 불어넣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Ⅲ. 결론

우리나라는 인구 고령화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는데, 이에 대응하는 노인복지 제도는 아직 미흡하고 부족하다. 대부분의 노인복지 제도는 노인을 사회적 약자로 보는 경향이 강해 노인의 사회 참여보다는 생활지원을 강조하는 경향이 많은데 이러한 정책들이 세대 간의 갈등을 야기시키고 노인들이 사회에 소외되고 의존적으로 취급되는 분위기를 만들어내고 있다

 

“경기연구원(2022) [60세 이상 노인 노동자의 노동환경 인식 조사]”에 따르면 60세 이상 노인 노동자의 97.6%가 계속 일하기를 원하고(참고2), 희망 연령은 평균 71세까지라는 조사 결과가 있었다. 물론 신체적, 인지적, 경제적 한계에 부딪힌 노인들을 위한 다양한 복지정책도 매우 중요하다. 다만 과거 노인의 역할과 지위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상기시키기 위해서는 그들의 오랜 경험으로 축적한 지식을 바탕으로 노동시장에서 여전히 유효한 전문활동이 가능하다면 언제든지 사회활동이 가능한 기회가 제공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한 국가적인 정책과 개입을 바탕으로 노인의 사회 참가 구조를 정비해야 할 것이다.

 

 

Ⅳ. 참고문헌

반응형